고제희의 풍수칼럼
목록으로
  치장

  치장은 택지에서 성분까지의 절차를 말한다. 장사를 지낼 만한 땅을 고르는 것을 '택지'라 하는데, 상주 중의 한 사람이 내정된 곳에 직접 가서 시신을 편안히 모실 수 있는 곳인가를 잘 살펴 정한다. 햇볕은 잘 드는지, 돌이나 물은 없는지, 봉분을 이룰 만큼 두터운 곳인지 등을 잘 알아본다. 이러한 사항을 잘 검토하여 묘지가 결정되면, 장사 지낼 날짜를 정하여 친척, 친지들에게 알리고 영연에 고사를 올린다.

  조객들의 문상을 받는 날 오후에는 다음날 있을 장례 준비도 미리 해두어야 한다. 장례를 준비하는 인원의 일부는 묘터를 잡아둔 곳에 가서 묘자리 주변의 나무를 베고 다음날 산역하기 쉽도록 땅 고르는 작업까지 어느 정도 하는 것이 좋다. 산역꾼들은 땅을 파기 전에 토지신에게 사토제를 지낸다.

  상주는 친척이나 친지 중에서 선정된 사토제를 지낼 사람과 집사와 같이 묘지로 정한 자리에 가서, 네 모서리를 파고 말뚝을 세운다. 그 말뚝 중간에 신위를 남향으로 설치하고, 주과포혜를 진설하고 사토제를 지낸다. 이때 상주는 참례하지 않는다. 묘를 쓸 주산 봉우리를 향해 제물을 차려 두고 간단히 절하고 축문을 읽는다.

  별도로 개토제를 지내는 경우에는 연장으로 땅을 파기 전에 묘를 쓸 곳에다 제사를 올린다. 관을 넣을 네모난 구덩이를 광중이라 하는데 먼저 광중에 해당하는 네 귀퉁이의 흙을 한 삽씩 떠낸 뒤에 그 앞에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절을 올린다. 이들 제의는 모두 산을 신성시 여겨 함부로 산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사토제가 끝나면 드디어 땅을 파기 시작하여 광중을 만든다. 광중을 팔 때는 금정기를 땅 위에 놓고 역사를 시작한다. 금정기는 나무 막대기 네 개를 가지고 정(井) 자 모양으로 만들어 놓은 것인데, 관의 크기를 짐작하여 반듯하게 놓고서 네 모퉁이에 말뚝을 박아 표시한 뒤 그 모양대로 파들어간다. 드디어 땅을 파기 시작하여 광중을 파고, 관이 들어갈 만큼 외곽을 만든다. 한편 집안에서는 운구를 위한 상여 준비를 한다. 곳집에서 상여를 꺼내 와서 부품들을 맞추어 보고 손볼 곳을 찾아 정비를 해둔다.

  묘터에서 하는 산역은 상가의 일가 어른들이 맡아서 하지만 상여를 정비하는 일은 상두계(향두계)원들이 담당한다. 장례일에는 이들 계원들이 상여꾼, 영여꾼, 잡역꾼 등으로 적절히 작업을 분담하므로 별도로 품을 살 필요 없이 상가에서는 음식만 제공하면 되었지만 현대에는 많이 달라졌다. 상두계는 상여를 운반하고 무덤 터를 다지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노동 집단이지만, 장례 의식을 수행하고 집행하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는 의례 집단이며, 상여가 나가기 전날 빈 상여를 메고 놀이판을 벌여 '빈 상여 놀이'를 즐긴다는 점에서는 놀이 집단이기도 하다.


<사진 : 사토제를 지내는 모습/참고자료>


문상

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