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후에 납골당에 안치하는 경우도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것과 사찰이나 개인업체가 운영하는 납골당이 있다. 불교계는 불교 고유의 장법인 화장을 널리 보급하는 납골당(納骨堂)과 영탑공원(靈塔公園)건립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 제도는 정부 또한 국토의 묘지화를 막는다는 차원에서도 크게 장려하고 있어 더욱 활기를 띌 것으로 보인다.
전남 장성의 백양사는 사찰 경내에 2층 규모의 납골당을 건립 중이다. 이 납골당은 현재 사용 중인 명부전(冥府殿)을 개축한 것으로 모두 3천기를 수용할 수 있고 신도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사설 납골당에 유골을 안치하는 것도 거액의 비용이 든다. 위치와 시설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서랍장 한 개의 임대 가격이 몇 백만 원이고, 또 유골함의 가격도 천 만원이 넘어가는 것이 있다고 전한다.
<사진 : 납골당 내부 전경(외국의 사례)>
|